첨부 파일에 들어있는 클래스는 아래와 같습니다.
- jp.flair4.lib.display.ExMovieClip
- jp.flair4.lib.display.IExMovieClip
- jp.flair4.lib.events.EnterFrameEventOptimizer
- flash.display.IInteractiveObject
- flash.display.IDisplayObject
- flash.display.IDisplayObjectContainer
- flash.display.ISprite
- flash.display.IMovieClip
주목할 클래스는 위에부터 3개의 클래스입니다.
IExMovieClip는 단순한 인터페이스입니다.
나머지 5개 클래스도 인터페이스입니다.
:: EnterFrameOptimizer
EnterFrame 이벤트를 여기 저기 남발할경우 어플리케이션 성능이 저하되기 마련입니다.
때문에 EnterFrame 이벤트를 한데 모아서 관리하게되면 좀더 빨라지게됩니다.
그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클래스입니다.
// optimizer생성.
var opt:EnterFrameEventOptimizer = new EnterFrameEventOptimizer();
// 관리대상 리스너(콜백함수) 등록
opt.addEventListener( Function );
// 관리대상 리스너(콜백함수) 삭제
opt.removeEventListener( Function );
// 일시 정지
opt.pause();
// 재개
opt.resume();
::ExMovieClip
이 클래스는 개발시 노가다를 줄이고자 하는 취지로 만들어졌습니다.
eMC : ExMovieClip의 인스턴스
-무비클립의 오른쪽 끝단과 하단 값
// x + width
eMC.right;
// y + height
eMC.bottom;
- 복수의 무비클립을 한번에 addChild()
eMC.addChildren(mcA, mcB, ...);
// 지정 index 부터 연속으로 addChildAt()
eMC.addChildAt(0, mcA, mcB, ...);
// 한꺼번에 삭제
eMC.removeChildren(mcA, mcB, ...);
- 특정 DisplayObject의 앞/뒤로 addChild
// mcA앞에 mcB를 addChild
addChildFront(mcA, mcB);
// mcA 뒤에 mcB를 addChild
addChildBehind(mcA, mcB);
- 자기 자신을 removeChild
eMC.removeOwn();
- stage로부터 remove 될 경우 eventListener를 자동 삭제.
eMC.addManagedEventListener(eventType, listener);
remove되는 순간 removeEventListener가 실행됩니다.
- [static]으로 관리할 이벤트명을 추가해서 관리
ExMovieClip.addAutoManagedEventType( ...eventTypes );
ExMovieClip.removeAutoManagedEventType( ...eventTypes );
위에 등록된 이벤트는 addEventListener 할때 자동으로 관리 대상이 되며,
removeChild 할때 자동으로 removeEventListener 합니다.
원 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.(일본어 페이지 입니다)
'저장소 > 기타저장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킨백업방법.. (0) | 2012.06.03 |
---|---|
만들다만 ... 플래쉬게임... (0) | 2012.04.01 |
에어포스 디펜스 (0) | 2011.10.23 |
자작 플래쉬 게임 안티에어 Beta (0) | 2011.10.19 |
테스트 (0) | 2011.08.19 |
0.432c테스트 (0) | 2011.08.13 |
0.433 테스트 (0) | 2011.08.13 |
ㅇㅇ타이틀플짤 (0) | 2011.08.07 |